“어머니라는 이름은/누가 지어냈는지/모르겠어요.//어…머…니… 하고/불러보면/금시로 따스해 오는/내 마음.//아버지란 이름은/누가 지어냈는지/모르겠어요./아…버…지… 하고/불러보면//오오- 하고 들려오는 듯/목소리//참말 이 세상에선/하나밖에 없는/이름들/바위도 오래되면/깎여지는데/해같이 달같이만 오랠/이름.”-이주홍 ‘해같이 달같이만’

5월 8일 오늘은 어버이날 1910년 한 미국여성이 돌아가신 어머니 잊지 못해 교회에서 흰 카네이션 나눠준 걸 계기로 1914년 윌슨 대통령이 5월 둘째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함, 우리나라는 1956년에 오늘을 어머니날로 정했다가 1973년 어버이날로 바꿈

5월 8일 오늘은 세계 적십자의 날 1946년에 앙리 뒤낭이 태어난 오늘(1828년)을 적십자의 날로 함, 중립적 구호조직의 필요성 주장한 뒤낭은 1895년에 인도주의 평등주의 중립성 독립 보편성 등을 기본원칙으로 적십자 창설 1901년 노벨평화상 받음

“5월 초여드레, 고향으로 돌아왔다. 죽었던 몸이 다시 살아난 듯한 기분으로 집에 돌아와 다시 처자를 마주 대하니 온 집안이 슬픔과 기쁨으로 그동안 지내온 일을 이야기하랴. 또 이야기하다 보면 슬프고 기쁜 나머지 눈물바다를 이루었다....아아, 슬프구나. 나와 함께 바다를 표류하던 사람은 스물여덟 명이었는데, 살아 돌아온 사람은 겨우 일곱에 불과하다.”-장한철 『표해록』 조선 영조 때 서울로 과거 보러 떠난 장한철이 태풍을 만나 표류하다가 구사일생으로 살아나 과거시험을 보았으나 낙방하고 제주도로 돌아온 뒤 그간의 여정을 기록한 한국 최초의 해양문학이자 설화집

1111(고려 예종 6) 여진 정벌한 윤관 장군 세상 떠남

1442(조선 세종 24) 측우제도 실시

1902 경의선 철도 기공

1967 서민호 대중당 대통령후보 선거 유세중 구속

-- ‘국민에게 큰 부담인 국방비 절약 위해 감군해야 한다’는 연설이 반공법 위반혐의

1991 김기설 전민련 사회부장 ‘노태우 정권 퇴진’ 요구 분신 스스로 목숨 끊음

- 검찰의 유서대필 조작으로 강기훈 전민련 총무부장이 자살 방조 혐의로 징역 3년 복역, 24년 만에 재심에서 무죄 확정판결 받음

1992 대학집회서 인공기 게양

-- 광주 전남대 부산 동아대에서 “인공기 게양, 북한과의 서신교류, 북한영화 상영 등으로 국가보안법 어김으로써 법을 사문화시키겠다”며 태극기 만국기와 함께 인공기 게양, 철거하려는 경찰과 충돌

1993 교육부 부정입학 및 편입생 명단 공개

-- 1987학년도-1993학년도까지 전국 75개 4년제 대학 입시감사로 부정입학·편입학했거나 채점착오로 부당하게 합격한 1412명 적발, 신원 확인된 학생 855명 학부모 451명 명단 공개

2000 매향리 사태 발생, 미 7공군 전폭기가 경기 화성 매향리에서 폭탄 잘못 투하

2017 북-미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1.5트랙(반관반민) 대화(-5.9)

1838 영국 의회정치의 계기가 된 인민헌장 공포

1873 영국 경험론 사상가·영국 사회주의이론의 아버지 존 스튜어트 밀 세상 떠남, 귀납법 완성 『자유론』 “One person with a belief is a social power equal to ninety-nine who have only interests” 신념이 있는 한 사람의 힘은 오로지 이익에만 관심이 있는 99명의 힘과 맞먹는다.-『대의정부론』 “It is better to be a human dissatisfied than a pig satisfied; better to be Socrates dissatisfied than a fool satisfied. And if the fool, or the pig, are of a different opinion, it is because they only know their own side of the question. The other party to the comparison knows both sides.” 배부른 돼지보다 배고픈 인간이 되는 것이 더 낫다. 만족한 바보보다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더 낫다. 바보나 돼지가 다른 의견을 가진다면 이는 오로지 자기 입장으로만 문제를 이해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인간이나 소크라테스는 문제의 양쪽의 입장을 다 이해한다.-『공리주의론』

1880 프랑스 소설가 플로베르(1821-1880) 세상 떠남 『보바리 부인』 “네 생애 중 가장 빛나는 날은 이른바 성공의 날이 아니라 비탄과 절망 속에서 생에의 도전과 한번 부딪치겠다는 느낌이 솟아오르는 때이다(The most glorious moment in your life are not the so-called days of success, but rather those days when out of dejection and despair you feel rise in you a challenge to life, and the promise of future accomplishments).”

1900 미국 텍사스주 캘버스틴에 허리케인, 6천명 죽고 도시 전체 폐허가 됨

1902 서인도제도 마르티니크 섬의 생피에르 시 부근 플레 화산 폭발 사망 3만6천 명

- 주민들 대피시키라는 경고를 루이 무테 주지사가 무시하고 오히려 걱정 없다는 전단지를 돌려 피난가지 않은 사람들과 다른 지역에서 생피에르로 피난 온 사람들 모두 목숨 잃음

-- 생존자는 지하실에 숨었던 제화공과 지하감옥의 죄수, 그리고 10살짜리 소녀 단 세 사람

1903 프랑스 화가 고갱 태평양 타히티 섬에서 세상 떠남

1945 독일 항복문서 조인, 유럽에서의 2차 대전 끝남, 5월 8-9일 양일은 세계대전 희생자를 위한 추모와 화해의 기간(Time of Remembrance and Reconciliation for Those Who Lost Their Liv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1955 나토 서독 가입 승인

1988 프랑스 대선 미테랑 결선 투표서 시라크 후보 누르고 재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296 [역사 속 오늘] 01/24(1989)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 6.25이후 기업인으로는 첫 방북 머니북 2014-01-24 1932
1295 [역사 속 오늘] 01/23(1678) 상평통보 주조 머니북 2014-01-23 2162
1294 [역사 속 오늘] 01/22(1926) 임시정부참모총장 지낸 독립운동가 노백린 장군 세상 떠남 머니북 2014-01-23 2012
1293 [역사 속 오늘] 01/21(1936)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 세상 떠남 머니북 2014-01-21 1983
1292 [역사 속 오늘] 01/19(1736) 영국발명가 제임스 와트 태어남 머니북 2014-01-20 2172
1291 [역사 속 오늘] 01/18(1994) 재야민주통일운동의 대부 늦봄 문익환 목사 세상 떠남 머니북 2014-01-20 1937
1290 [역사 속 오늘] 01/17(1991) 미국의 이라크 전면공격, 걸프전 일어남. 머니북 2014-01-17 1935
1289 [역사 속 오늘] 01/16(1944) 시인 이육사 베이징감옥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4-01-16 2102
1288 [역사 속 오늘] 01/15(1973) 미국, 월남전 전면정지 발표(27일 평화협정조인 28일 정전) 머니북 2014-01-15 2093
1287 [역사 속 오늘] 01/14(1987) 서울대생 박종철,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고문으로 목숨 잃음 머니북 2014-01-14 2033
1286 [역사 속 오늘] 01/13(1986) 첫 대입논술고사 머니북 2014-01-13 2333
1285 [역사 속 오늘] 01/12(1923) 독립운동가 김상옥의사, 종로경찰서에 폭탄 의거 머니북 2014-01-13 1986
1284 [역사 속 오늘] 01/11(1994) 허영호 씨 등 한국남극점 탐험대, 한국인최초로 남극점 정복 머니북 2014-01-13 2433
1283 [역사 속 오늘] 01/10(1863) 영국 런던에 세계 첫 지하철(6km) 개통 머니북 2014-01-10 2732
1282 [역사 속 오늘] 01/09(2007) 스티브 잡스, 터치스크린 가진 스마트폰 아이폰 첫 선, 아이폰은 1억대 이상 팔림 머니북 2014-01-09 1940
1281 [역사 속 오늘] 01/08(1992)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요구하는 수요시위 시작 머니북 2014-01-08 1943
1280 [역사 속 오늘] 01/07(1948) 초등학교 의무교육제도 실시 머니북 2014-01-07 2164
1279 [역사 속 오늘] 01/06(1996) 가수 김광석, 자신의 집에서 유서 남기지 않고 스스로 목숨 끊음 머니북 2014-01-06 2203
1278 [역사 속 오늘] 01/05(1924) 의열단 김지섭열사, 도쿄왕궁에 폭탄던짐 머니북 2014-01-06 2253
1277 [역사 속 오늘] 01/04(1642) 만유인력법칙 등 업적 남긴 근대과학의 아버지 영국물리학자 아이작 뉴턴 태어남 머니북 2014-01-06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