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어떠랴, 저 비 오는 안개 속에/속 깊이 푸르른 나무들/저 홀로 고요한들./보는 이 아무도 없어 외로움인들 어떠랴,/아름다움이 저 홀로 빛난들/그래서 허무함인들 어떠랴, 그래, 어떠랴,/새로운 시간을 위해/시간을 버리며 휘저으며 떠나간 사람들/다시는 오지 않은들 어떠랴,/영영 잊는다 한들 어떠랴, 바람이여,/이제 나는 일어설 수 있는데/이제 나는 떠날 수 있는데./해가 진들, 시간이 멈춘들 어떠랴, 강물이여,/이제 나는 흘러갈 수 있는데/이제 나는 머물지 않을 수 있는데!”-강경화 ‘머무르지 않음’

“슈호프가 집을 나선 것은 1941년 6월 23일이었다. 일요일 아침 폴롬냐 교회에 예배드리러 갔던 사람들이 전쟁이 터졌다고 알려주었다.”-솔제니친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참전했다 포로가 된 슈호프는 조국배반죄로 수용소에서 3,653일째의 날을 보냄)

6월 23일 오늘은 유엔 공공봉사의 날

6월 23일 오늘은 유엔 과부의 날

6월(음력 5월 즈음)의 다른 이름=매우(梅雨) 매실을 영글게 만드는 비가 내리는 때라는 뜻

1453(조선 단종 1) 악보 인쇄 간행

1884(조선 고종 21) 첫 방한 선교사 맥클레이 인천 도착

1920 한규설 이상재 등 조선교육회 설립

1951 한국전쟁 중 말리크 소련 유엔대사 휴전회담 제의

1952 한국전쟁 중 한국-중국 국경에 걸쳐 있는 수풍발전소 폭격 당함

1955 주요 도시 양곡배급제 실시

1967 경기도청 서울에서 수원으로 옮김

1973 박정희 대통령 평화통일에 관한 6.23 선언 발표, 6.23 선언의 골자=조국의 평화적 통일은 민족의 지상과업/남북한의 국제기구 동시 가입/이념과 체제를 달리하는 국가에게도 문호개방

1973 김일성 조국통일 5대 강령 발표, 조국통일 5대 강령의 골자=남북간 군사적 대치상태 해소(군사문제 우선해결)/다방면 합작/대민족회의 소집/남북연방제 실시(고려연방국)/연방제 실시 후 유엔가입(유엔 동시가입 반대)

1979 윤보선 전 대통령 등 20여명 서울 종로 화신백화점 앞에서 카터 방한 반대시위

1981 한-미 경제협의회 서울에서 열림

1981 미국 윌리엄 롤스턴 소유 가장 오래된 태극기 91년 만에 돌아옴

1987 전남 영광 원전 7,8호기(발전용량 190만kw) 준공

1991 제8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포르투갈)서 남북단일팀 8강 진출(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브라질)

1994 강원도 철원 옛 노동당사에서 평화를 위한 열린음악회 열림

1995 북한-일본 쌀 제공문제 관련 협상(도쿄)

1997 민간지원 북한구호식량 첫 국적선 ‘장영호’ 부산에서 흥남으로 출발

2004 제3차 베이징 6자회담 열림

2009 재미소설가 김은국 세상 떠남(77세) 『순교자』

2010 한국대표팀 남아공월드컵에서 나이지리아와 2:2로 비겨 첫 원정 월드컵 16강 달성

2016 원자력안전위원회 신고리 핵발전소 5,6호기 선설 승인

2017 서울중앙지법 형사29부(재판장 김수정) 딸(정유라)의 이대 부정입학과 학점특혜 요구(업무방해죄) 최순실 징역 3년 선고

2018 김종필 전 국무총리 세상 떠남

2018 정치학자 차기벽 성대 명예교수 세상 떠남(94세) 『근대화정치론』 『민주주의의 이념과 역사』

2018 박용택 선수(LG 트윈스) 2,319안타 한국 프로야구 통산최다안타

1633 지동설 주장했다 로마 이단심문소에서 재판받은 갈릴레이 갈릴레오 풀려남

1894 쿠베르탱 파리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설립

1894 사랑 위해 왕위 포기한 영국 왕 에드워드 8세 태어남

- 에드워드 8세는 공개적으로 히틀러와 무솔리니를 찬양하는 등 사려 깊지 못하다는 평가

1910 프랑스 극작가 장 아누이 태어남 “인간은 구덩이에 빠진 쥐처럼 몸부림치기를 그만두어야 하고 도망하겠다는 보기 흉한 노력도 중단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금 있는 곳에 그대로 있으면서 마음 내키는 대로 소리쳐야 한다.”

1953 서독에서 베를린장벽 최초희생자 추도식 열림

1956 나세르 이집트 초대대통령 취임 민정 시작

1980 베트남 태국 국경 침범

1985 인도항공 보잉747 대서양 추락 사망 329명

1986 미국 오하이오 주 페리 원전 불

1986 국제원자력기구(IAEA)조사관 12명 일본 이바라키현 토카이사업소 핵연료검사중 방사능오염

2007 미국 하원 위안부 피해 관련 일본정부의 사죄결의안 채택

2013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 주 큰 비 홍수 산사태 5천여 명 사망 추정

2016 영국 국민투표(찬성 51.9%)로 EU탈퇴(Brexit) 확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538 [역사 속 오늘] 11/30(1905) 고종의 시종무관장 민영환, 을사늑약 체결 개탄하며 자결 머니북 2011-11-30 3513
4537 [역사 속 오늘] 12/01(1948) 국가보안법 제정 머니북 2011-12-01 3517
4536 [역사 속 오늘] 12/02(1972) 남북조절위 본회의 제1차 회의 개회(서울) 머니북 2011-12-02 10908
4535 [역사 속 오늘] 12/03(1921) 임경재 최두선 등 최초의 민간학술단체 조선어연구회 창립 머니북 2011-12-05 10813
4534 [역사 속 오늘] 12/04(1884) 갑신정변 일어남. 머니북 2011-12-05 11187
4533 [역사 속 오늘] 12/05(2007) 개성관광 시작 머니북 2011-12-05 20079
4532 [역사 속 오늘] 12/06(1995) 유네스코, 석굴암-팔만대장경-종묘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등록 머니북 2011-12-06 3903
4531 [역사 속 오늘] 12/07(2007) 태안앞바다 기름유출사고 머니북 2011-12-07 14499
4530 [역사 속 오늘] 12/08(1900) 태극기 규정, 흰 바탕 길이2척 넓이1척 태극 7촌 청홍색 머니북 2011-12-08 13462
4529 [역사 속 오늘] 12/09(1636) 병자호란 일어남 머니북 2011-12-09 3618
4528 [역사 속 오늘] 12/10(1948) 유엔, 세계인권선언 공포 머니북 2011-12-11 3587
4527 [역사 속 오늘] 12/11(935) 신라 멸망 머니북 2011-12-12 8522
4526 [역사 속 오늘] 12/12(1979) 12.12 군반란사건. 머니북 2011-12-12 13707
4525 [역사 속 오늘] 12/13(1937) 일본군, 중국의 남경 점령하고 대학살 자행 머니북 2011-12-13 9853
4524 [역사 속 오늘] 12/14(1911)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센, 인류사상 최초로 남극점 도달 머니북 2011-12-14 3844
4523 [역사 속 오늘] 12/15(2006) 반기문 외교부장관, 임기5년 유엔사무총장 선출됨 머니북 2011-12-15 17488
4522 [역사 속 오늘] 12/16(1689) 영국 권리장전 공포 머니북 2011-12-16 16601
4521 [역사 속 오늘] 12/17(668) 고구려 멸망, 신라 삼국통일 머니북 2011-12-19 15117
4520 [역사 속 오늘] 12/18(1965) 한일협정발효, 한일국교정상화 머니북 2011-12-19 10746
4519 [역사 속 오늘] 12/19(2007) 제17대 대통령선거 이명박 당선, 10년만의 정권교체 머니북 2011-12-19 22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