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을 사람 되는 공부 하였으니/쌓인 번뇌 얼음처럼 녹았으리/대장경 보기를 다 하고/향 사르며 다시 주역을 읽네/나를 잊고 또 세상을 잊으니/退然한 소식은 오직 이 뿐이라/밤 깊고 바람마저 고요한데/소나무 숲 달 그림자 사람을 희롱하니/옛 벗은 구름이요/밝은 달은 나의 한 생애일레/만학천봉 속에서/사람을 만나면 차를 권하리“-서산대사(1604년 오늘 입적)

“나는 자신의 심장을 열고자 하는 열망에서 태어나지 않은 예술은 믿지 않는다. 모든 미술과 문학, 음악은 심장의 피로 만들어야 한다. 예술은 한 인간의 심혈이다.” -뭉크(1944년 오늘 세상 떠난 노르웨이 화가 ‘절규’)

662(고구려 보장왕 21) 연개소문이 사수에서 당 나라 군대 크게 무찌름

1678(조선 숙종 4) 상평통보 주조

-- 영의정 허적 좌의정 허대운 등의 건의로 호조.상평청.진휼청.어영청.사복시.훈련도감에서 상평통보 주조케 함, 1백문이 은 1냥과 맞먹음, 신식화폐가 발행될 때까지 200여 년간 유통

1851 개화파 김옥균 충남 공주에서 태어남

1935 소설 『상록수』의 모델 최용신 세상 떠남(26세)

1938 일제, 중일전쟁 전략물자 조달 위해 국가동원령 선포

1961 사회대중당 김달호 영세중립화를 위한 통일방안 발표

1968 미국 정보수집함 푸에블로 호 원산 앞바다에서 북한에 끌려감

-- 83명(장교 6 사병 75 민간인 2) 태운 채 북한 해안에서 40km 떨어진 동해 공해상에서 북한 초계정 4척과 미그기 2대에 의해 강제로 끌려감, 그 와중에 1명 총격 사망

-- 1968.2.2부터 판문점에서 28차례 북-미 비밀협상. 미국이 북한요구대로 영해침범 시인과 사과 요지의 승무원 석방문서에 서명한 뒤 82명과 유해 1구가 1968.12.23 판문점 통해 돌아옴, 배와 장비 일체는 몰수당해 돌려받지 못함

1969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을 분식의 날로 결정

1971 김대중 후보 연두회견에서 소련 등 동구권과 외교전개 필요 언급

1971 속초 상공서 KAL기 납북하려 한 범인과 조종사 격투 사망 2명

1975 국방부 북한의 대남비방방송 개시 발표

1981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관련자 피고인 상고기각, 김대중 무기로 감형

1982 한국여자탁구팀 서독오픈탁구대회 여자부 단체 우승

1983 충남 대호 방조제 완공

1997 한보철강 부도

2007 서울중앙지법 인혁당재건위 사건으로 사형된 8명에 대해 무죄 판결

2013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안 2087호 채택

2015 제주 32년 만의 폭설, 25일까지 3일간 제주공항 활주로 폐쇄 8만 여 명 발 묶임. 박근혜 대통령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

2018 한국대표팀(김독 김봉길) 아시아 축구연맹 AFC 챔피언십(U-23) 준결승 연장전(중국 쿤산)에서 우즈벡에 1:4로 완패 결승 진출 못함

2019 법원 서지현 검사 미투 당사자 안태근 전 검사장 인사보복 혐의 징역 2년 선고(성폭력은 불기소) 법정구속, 2020.1.9 대법원이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

2020 당뇨병 치료 권위자 허갑범 세상 떠남(83세)

BC27 옥타비아누스 로마 제정 확립

1783 프랑스 작가 스땅달(-1842) 태어남 『적과 흑』 “이해가 상반되는데도 그렇지 않다 한다고 해서 납득될 수 없다. 민중 역시 언제까지나 속기만 하는 어리석은 양은 아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이 양치기와 같은 자본가와 정치가가 많이 있다.”

1832 인상파 개척자인 프랑스 화가 에두아르 마네 태어남

1898 몽타주 개념 발전시킨 소련 영화감독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대표작 ‘전함 포템킨’) 태어남

1903 미국-콜롬비아 파나마운하조약 조인

1907 일본 물리학자 유가와 태어남

--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를 결합시키는 중간자 존재 예측해 1949년 노벨상 받음

1913 터키에 청년터키당의 쿠데타

1973 미국-북베트남 휴전협정 가조인

2008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그리스 총리 50년 만에 터키 국빈 방문

2008 팔레스타인인 수천 명 가자지구서 이집트 국경 넘음

2015 압둘라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세상 떠남, 후임 살만 국왕 다음날 즉위

2016 중국 네이멍구 건허시 진허진 –48℃

2020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감염증 확산 막기 위해 우한(인구 1,100만 명) 전면봉쇄, 76일 만인 4월 8일 봉쇄 해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838 [역사 속 오늘] 11/29(1987) 대한항공(바그다드발 서울행 보잉707)기 버마 랑군 상공에서 공중폭발 탑승객 115명 모두 목숨 잃음 머니북 2013-11-29 2511
3837 [역사 속 오늘] 11/30(1963) 제1회 청룡상(영화상) 시상 머니북 2013-12-02 2095
3836 [역사 속 오늘] 12/01(1948) 국가보안법 제정 머니북 2013-12-02 2247
3835 [역사 속 오늘] 12/02(1804) 나폴레옹 황제에 오름 머니북 2013-12-02 2063
3834 [역사 속 오늘] 12/03(1896) 제1회 올림픽,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림 머니북 2013-12-03 2120
3833 [역사 속 오늘] 12/04(1884) 우정국 개국, 최초의 우표 발행 머니북 2013-12-04 2238
3832 [역사 속 오늘] 12/05(1955) 미국 몽고메리의 흑인들 버스안타기 운동 벌임 머니북 2013-12-05 2308
3831 [역사 속 오늘] 12/06(1949) 첫 징병검사 실시 머니북 2013-12-06 2413
3830 [역사 속 오늘] 12/07(2002) 로또복권 등장 머니북 2013-12-09 2340
3829 [역사 속 오늘] 12/08(2005)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국가귀속법 국회통과 머니북 2013-12-09 2009
3828 [역사 속 오늘] 12/09(1968) 무장공비, 이승복가족 학살 머니북 2013-12-09 2138
3827 [역사 속 오늘] 12/10(1948) 유엔 세계인권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공포 머니북 2013-12-10 2128
3826 [역사 속 오늘] 12/11(1981) 세계 세번째로 프로야구 탄생, 한국프로야구위원회(KBO) 창립총회 머니북 2013-12-11 1919
3825 [역사 속 오늘] 12/12(1979) 12.12 군반란 사건 머니북 2013-12-12 1956
3824 [역사 속 오늘] 12/13(1937) 일본군 중국남경 점령 대학살 머니북 2013-12-16 2113
3823 [역사 속 오늘] 12/14(1911)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센, 인류사상 최초로 남극점 도달 머니북 2013-12-16 2029
3822 [역사 속 오늘] 12/15(1993) 우루과이라운드협상 타결, 쌀시장개방 머니북 2013-12-16 2115
3821 [역사 속 오늘] 12/16(1689) 영국 권리장전(‘신하와 백성들의 권리와 자유를 선언하고 왕위계승을 정하는 법’) 공포 머니북 2013-12-16 2367
3820 [역사 속 오늘] 12/17(1995) 허영호, 남극대륙 최고봉 매시프(해발5,140m) 등정 머니북 2013-12-17 2293
3819 [역사 속 오늘] 12/18(1965) 한일협정발효 한일국교정상화 머니북 2013-12-18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