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일어나면 다 괜찮다/어젯밤 불던 바람소리도/바람을 긋고 간 빗소리도 괜찮다/보통 이상인 감정도/보통에 미달한 가분도 괜찮다/자고 일어나면 정말 괜찮다/웃어도 괜찮고 울어도 괜찮다/웃지 않아도 괜찮고 울지 않아도 괜찮다/유리창에 몸을 밀어 넣은 빗방울이/벗은 소리만으로 내게 오던 그 시간/반쯤 비운 컵라면을 밀어놓고/빗소리와 울컥 눈인사를 나누어도/괜찮다/너무 괜찮다” -박세현 ‘너무 괜찮다’

”방의 넓이는 10홀, 남으로 외짝문 두 개 열렸다. 한낮의 해 쬐어. 밝고도 따사로워라. 집은 겨우 벽만 세웠지만, 온갖 책 갖추었다. 쇠코잠방이로 넉넉하니, 탁문군卓文君의 짝일세. 차 반 사발 따르고, 향 한 대 피운다. 한가롭게 숨어 살며, 천지와 고금을 살핀다. 사람들은 누추한 방이라 말하면서, 누추하여 거처할 수 없다 하네. 내가 보기엔, 신선이 사는 곳이라. 마음 안온하고 몸 편안하니, 누추하다 뉘 말하는가, 내가 누추하게 여기는 건 몸과 명예 모두 썩는 것, 집이야 쑥대로 엮은 거지만 도연명도 좁은 방에서 살았지, 군자가 산다면, 누추한 게 무슨 대수랴.” -허균 ’누추한 내방(陋室銘)‘

1863(조선 철종 14) 최시형(37세) 동학 북접 대도주 됨

1931 최초 아동문화운동단체 ‘색동회’ 조직, 최초 아동잡지 ‘어린이’ 창간한 아동문학가 방정환 세상 떠남

1936 ‘홍도야 우지 마라’(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동양극장에서 첫 공연

1965 이승만 전 대통령 유해 하와이에서 돌아옴

1966 중부지방 큰 비(-7.26) 사망 67명 실종 116명

1973 수원 팔달산에 홍난파 노래비 세움 ‘성불사의 밤’ ‘옛 동산에 올라’ ‘달마중’ 고향의 봄‘

-- 1898년 경기도 화성 남양에서 태어남, 나라 없는 민족의 슬픔을 담은 ‘봉선화’ 작곡(1920년). 친일파 논란 있음

1985 남북한국회회담 1차 예비접촉(각 11인, 판문점) 회담장소 서울 평양 교대개최 등 합의

1987 북한 다국적 단계별 군축협상 제의

1988 인천지법 형사2부 성고문 문귀동 피고에게 징역 5년 지격정지 3년 선고

1992 서울 지검 정보사부지 사기사건 배후 없다 발표

-- 김영호(전 합참 군사자료과장) 정건중(성무건설 회장) 김인수(명성건설 회장)가 모의해 정보사 부지를 수의계약으로 불하해 주겠다고 속여 제일생명으로부터 660억원 사취한 사건

1992 국가보안법 철폐를 위한 범국민투쟁본부 서울 등에서 단식농성 시작

1995 전남 여천에서 유조선 시프린스 호 사고 원유 등 5천톤 유출

1999 태풍 올가 호 사망 실종 67명 재산피해 1조 490억원

2017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세상 떠남(91세)

2018 노회찬 정의당 대표 스스로 목숨 끊음

2018 소설가 최인훈 세상 떠남 84세 『광장』 『회색인』 『화두』

2018 강원도 강릉 최저 기온 31.0℃ 역대 최고 초열대야

2018 서울중앙지법 국가정보원장 특별사업비 상납사건으로 추가 기소된 박근혜 전 대통령 징역 6년 추징금 33억원 선고

2019 러시아 군용기 사상 처음으로 우리 영공(독도 상공) 침범, 우리 공군 전투기 띄워 경고사격

1903 포드 자동차 첫 시판

1908 청년 터키당 헌법 부활 성명

1921 마오쩌둥 등 57명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서 중국공산당 창당

1951 프랑스 파리에 NATO군 최고사령부 설치

1952 이집트 가말 압델 나세르가 이끄는 청년장교단 쿠데타 파루크 왕조 무너짐

1954 국제포경회의 북극해고래잡이 금지 결정

1972 미국 최초의 실험용 지구자원탐사위성 랜드셋 1호 발사

1988 버마 소요사태 악화 집권 사회주의계획당 당수 네윈 사임

2018 라오스 아타푸 주 사남사이군 비 438mm 쏟아져 SK건설이 공사 참여한 새남노이 댐 붕괴로 홍수(5억톤) 사망 40명 실종 32명 수재민 1만여명 6개 마을 완전 파괴

2020 중국 사상 첫 트리플(궤도선 착륙선 탐사차량) 화성탐사선 ‘텐원 1호’ 하이난섬 원창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 성공, 2021년 4월 화성 착륙 예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458 [역사 속 오늘] 12/27(1945) 국제통화기금(IMF) 설립 머니북 2014-12-29 1807
3457 [역사 속 오늘] 12/28(1926) 의열단원 나석주, 동양척식회사와 식산은행 폭탄투척 후 자살 머니북 2014-12-29 1936
3456 [역사 속 오늘] 12/29(1967) 우리나라 처음으로 지리산을 국립공원 지정 머니북 2014-12-29 1925
3455 [역사 속 오늘] 12/30(2011) 민주화운동의 대부 김근태 전 의원 세상 떠남 머니북 2014-12-30 1779
3454 [역사 속 오늘] 12/31(2010) 방송통신위원회, 종합편성 방송채널과 보도전문 방송채널 선정 발표 머니북 2014-12-31 1928
3453 [역사 속 오늘] 01/01(1863) 링컨 미국대통령 노예해방선언 머니북 2015-01-02 2078
3452 [역사 속 오늘] 01/02(1410) 태조실록 편찬시작(1413년 완성) 머니북 2015-01-02 1954
3451 [역사 속 오늘] 01/03(1957) 세계처음 전자시계발명 머니북 2015-01-05 1783
3450 [역사 속 오늘] 01/04(1981) 언론통폐합으로 연합통신(사장 김성진) 창설 머니북 2015-01-05 1901
3449 [역사 속 오늘] 01/05(1924) 의열단 김지섭열사, 도쿄왕궁에 폭탄던짐 머니북 2015-01-05 1931
3448 [역사 속 오늘] 01/06(1996) 가수 김광석, 자신의 집에서 유서 남기지 않고 스스로 목숨 끊음 머니북 2015-01-06 2456
3447 [역사 속 오늘] 01/07(1948) 초등학교 의무교육제도 실시 머니북 2015-01-07 1959
3446 [역사 속 오늘] 01/08(1932) 이봉창 의사 일본왕에게 수류탄 의거 머니북 2015-01-08 1891
3445 [역사 속 오늘] 01/09(2007) 스티브 잡스, 터치스크린 가진 스마트폰 아이폰 첫 선, 아이폰은 1억대 이상 팔림 머니북 2015-01-09 2128
3444 [역사 속 오늘] 01/10(1863) 영국 런던에 세계 첫 지하철(6km) 개통 머니북 2015-01-12 1923
3443 [역사 속 오늘] 01/11(1994) 허영호 씨 등 한국남극점 탐험대, 한국인최초로 남극점 정복 머니북 2015-01-12 2039
3442 [역사 속 오늘] 01/12(1923) 독립운동가 김상옥의사, 종로경찰서에 폭탄 의거 머니북 2015-01-12 1773
3441 [역사 속 오늘] 01/13(1782) 독일 극작가 실러의 <군도> 첫 공연, 독일연극사의 새 이정표 세움. 머니북 2015-01-13 1924
3440 [역사 속 오늘] 01/14(1987) 서울대생 박종철,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고문으로 목숨 잃음 머니북 2015-01-14 1758
3439 [역사 속 오늘] 01/15(1973) 미국, 월남전 전면정지 발표(27일 평화협정조인 28일 정전) 머니북 2015-01-15 2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