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떠나고 침대 방향 바꾸었다/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것뿐/이불과 베개 새것으로 바꾸고/벽으로 놓던 흰머리 창가로 두고 잔다...이별은 언제나 예고 없이 온다는 것을/어리석은 사람은 어리석어 잊고 산다/어리석어 내 생을 담은 한 잔 물이/잠시 심하게 흔들렸을 뿐이다/단지 그것뿐이다”-정일근 ‘그 후’


11월 3일 오늘은 학생독립운동기념일 1929년 오늘 광주학생독립운동 일어남, 전국 194개교 5만 천 여 명 참가 투옥 580여 명 무기정학 2,330여 명, 유신 때 폐지되었다가 11년 만인 1984년 ‘학생의 날’로 부활, 2006년에 학생독립운동기념일 이름 찾음


1893(조선 고종 30) 우리나라 첫 고딕성당인 중림동 약현성당 준공


1929 시인 이장희 세상 떠남 ‘봄은 고양이로소이다’ ‘하일소경’


1945 조선민주당 평양서 결성(당수 조만식)


1961 미군 H21 헬리콥터 오산기지 서방 5㎞ 지점 논에 추락 사망 6명


1974 서울 청량리 대왕코너 불 탐 사망 88명 부상 31명

1976 동해에 풍랑 사망·실종 408명


1984 충남 보령 덕수탄광 지하 갱 가스폭발 사망 5명 부상 3명


1995 한국 출신 독일 작곡가 윤이상 베를린에서 세상 떠남 “난 우주의 수많은 소리 중 몇 개를 가져오는 것뿐이오.”

- 통영고등학교 등 통영의 거의 모든 학교의 교가 작곡, 고려대학교 교가도 그의 작품

- 서양음악에 동양적 요소를 씀, 서양악기와 음악체계로 동양적인 음색과 미학 표현하는 독창적인 작곡기법인 주요음(Hauptton)기법과 주요음향(Hauptklang)기법 개척

- 그의 작품 오페라 ‘심청’은 1972년 뮌헨올림픽 기념 문화행사 개막공연, 1980년 5월 광주의 비극을 주제로 한 ‘광주여 영원히!’(1981), 교성곡 ‘나의 땅, 나의 민족이여’, 한민족 역사 이야기하고 통일 염원하는 칸타타 ‘일곱 개의 악기를 위한 음악’

- 영화로도 제작된 ‘상처받은 용(Der verwundete Drache : Dialog über Leben und Werk des Komponisten)’은 루이제 린저와 윤이상의 대담록

- 동베를린사건 때 간첩으로 몰려 1심(1967.12.13) 무기징역(부인은 집행유예로 석방), 재심·삼심에서 감형, 옥중에서 자살 시도, 1969.2.25 대통령 특사로 석방, 2006년 1월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는 동베를린사건이 부정선거에 대한 비판 무마시키려 과장되었다고 발표

- 카라얀이 주축이 되어 200여명의 유럽 음악인들이 한국정부에 공동탄원서, 윤이상 수감에 항의하는 등 세계 음악가들의 격한 저항, 1969.2.23 뉘른베르크에서 초연된 ‘나비의 미망인’은 옥중에서 쓴 오페라로 31회의 커튼콜

- 1971년 서독으로 국적을 바꿨고, 죽을 때까지 한국에 못 옴, 그의 음악 연주금지, 북한은 1982년부터 매년 윤이상음악제 개최, 1988년 일본에서 남북정부에 남북합동음악회 개최 건의, 1990년 10월 서울전통음악연주단 대표17명이 평양으로 초청받아 범민족 통일음악회, 2007.9.14 부인(이수자)이 40년만에 윤이상 탄생90주년 기념축전 참가


1997 야권 후보단일화 공식선언 DJP 성사

1998 제1회 윤이상통일음악회 평양에서 열림(-11.5)

-- 해방 후 첫 남북한 합동연주회, 윤이상이 비무장지대에서 민족합동음악축전 열자고 남북한에 제안(1988)한 지 10년 만에 열림, 노동은 이건용 안숙선 박범훈 김덕수 윤인숙 안동혁 김현미 등 참가


2000 2차 구조조정 52개 부실기업 무더기 퇴출


2014 검찰이 민변 소속 변호사 7명 대한변협에 징계 신청

2014 홍준표 경남지사 학교 무상급식보조금 지원중단 선언

2015 황우여 교육부장관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2016 국정농단 게이트 관련 최순실 구속

2017 자유한국당 박근혜 전 대통령 제명,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강제 출당됨

2018 남측 민화협(256명)과 북측 민화협 6.15민족통일대회(2008년) 이후 10년 만에 금강산에서 남북 민화협 연대회의 염(~11.4)

2018 시인 문충성 세상 떠남




1903 파나마 독립


1918 1차 대전 중 독일 수병들 킬 군항에서 반란 11월 혁명 일어남


1928 케말 파샤 새 터키 문자 채용


1946 일본 신헌법 선포


1954 프랑스 화가 앙리 마티스 세상 떠남 “삶은 어린아이의 눈으로 보아야 한다.” “한 화가의 초기 작품 속에는 이미 그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내게 가장 흥미 있는 것은 정물이나 풍경이 아니라 인물이다. 인물에 의해 나는 생명에 대한 거의 종교적이라 할 수 있는 감정을 표현하는 데 가장 성공한다.”


1964 린든 존슨 미대통령 당선

1968 중국 광동에 폭우 사망 3,000명


1976 지미 카터 미대통령 당선

1978 중국-베트남 전면전 돌입


1982 영국 국제정치학자 에드워드 핼릿 카 세상 떠남(90세) 『역사란 무엇인가』

1988 미국 핵무기공장들 40년간 방사능 방출로 핵 위기 조성


1993 최초의 전자악기 ‘테레민’을 발명(1923)한 러시아 음향물리학자·첼리스트 레온 테레민 세상 떠남(97세)

1998 미국 중간선거 클린턴 스캔들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승리


2007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 국가 비상사태 선포 파키스탄 정국 혼란


2011 티베트 여승 팔덴 최초 “티베트에 자유를” “달라이 라마 귀환” 요구하며 타우 시에서 소신공양

2015 아마존닷컴 20년 만에 첫 오프라인 서점 아마존 북스 문 염(미국 시애틀)





[출처] 2022년 11월 3일 목요일|작성자 주책다방 지키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498 [역사 속 오늘] 01/11(1951) 거창 양민학살사건 일어남 머니북 2012-01-11 2696
4497 [역사 속 오늘] 01/12(1923) 독립운동가 김상옥 의사, 종로경찰서에 폭탄의거 머니북 2012-01-12 2886
4496 [역사 속 오늘] 01/13(771) 성덕대왕 봉덕사신종(에밀레종) 완성 머니북 2012-01-13 3523
4495 [역사 속 오늘] 01/14(1987) 서울대생 박종철, 경찰고문으로 목숨 잃음 머니북 2012-01-16 3002
4494 [역사 속 오늘] 01/15(1987) 김만철 일가 11명 철선으로 북한탈출 머니북 2012-01-16 3618
4493 [역사 속 오늘] 01/16(1944) 시인 이육사, 베이징 감옥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2-01-16 2882
4492 [역사 속 오늘] 01/17(1920) 미국 피츠버그서 세계에서 처음 라디오 방송 머니북 2012-01-17 2609
4491 [역사 속 오늘] 01/18(1994) 늦봄 문익환 목사 세상 떠남(재야민주통일운동의 대부) 머니북 2012-01-18 3044
4490 [역사 속 오늘] 01/19(1736) 영국 발명가 제임스 와트 태어남 머니북 2012-01-19 2546
4489 [역사 속 오늘] 01/20(2009) 용산참사 일어남 머니북 2012-01-20 2876
4488 [역사 속 오늘] 01/21(1936) 단재 신채호 세상 떠남 머니북 2012-01-25 2550
4487 [역사 속 오늘] 01/22(1832) 독일문학가 괴테 세상 떠남 머니북 2012-01-25 2825
4486 [역사 속 오늘] 01/23(662) 연개소문, 사수에서 당나라군대 대파 머니북 2012-01-25 3016
4485 [역사 속 오늘] 01/24(1930) 김좌진 장군 북만주 산시역 앞에서 옛 부하에게 피살 머니북 2012-01-25 3022
4484 [역사 속 오늘] 01/25(1886)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한성주보> 발간(1888년 폐간) 머니북 2012-01-25 3103
4483 [역사 속 오늘] 01/26(1950)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머니북 2012-01-26 7305
4482 [역사 속 오늘] 01/27(1883)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 머니북 2012-01-27 2750
4481 [역사 속 오늘] 01/30(1948) 인도의 간디 극우파 청년에게 암살당함 머니북 2012-01-30 2704
4480 [역사 속 오늘] 01/31(1865) 노예제도금지한 미국 수정헌법안 하원통과 머니북 2012-01-31 2702
4479 [역사 속 오늘] 02/01(1019) 강감찬장군 귀주대첩 승리 머니북 2012-02-01 3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