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두렁에 호박잎/축 늘어져 있는데...느티나무 가지에 앉아/애가 타서 울어대는/청개구리//강물에 담긴 산에서/시원스럽게 우는/참매미//구경하던/파아란 하늘도/하얀 구름도/강물 속에 들어가/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 -홍석하 ‘8월 한낮’


“지난달에는 무슨 걱정을 했지? 지난해에는? 그것 봐라, 기억조차 못하잖니. 그러니까 오늘하고 있는 걱정도 사실은 별로 걱정할 일이 아니다. 내일을 향해 가는 거야”- 아이아코카


1904 친일단체 일진회 창립

1907 궁중에 이발소 설치


1936 태풍 3693호(-8.28) 사망‧실종 1,232명

1944 일제 금속회수 강제명령 발동


1964 납북인사 송환을 위한 백만인 서명운동(조선일보 주최)


1970 서울 마장동 판자촌 화재 소실 168동 이재민 3,000명

1971 남북적십자 대표 26년 만에 판문점에서 만남

1971 이화여대 팀 경북 영주 순흥에서 신라 벽화 고분 발굴


1992 체신부, 제2이동통신사업자로 선경그룹이 대주주로 참여한 컨소시엄 대한텔레콤 선정

-- 김영삼 민자당 대표 선경선정 불복선언, 8월 27일 선경그룹 제2이동통신사업 포기 공식선언

1992 전북 부안 고사포 해수욕장 앞 해상서 TNT 폭발 공수대원 4명 사망

1993 첫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

1993 경부고속철도 차종 프랑스의 TGV 선정 발표

1996 전경 2만 명 연대 진입, 농성 중인 한총련 대학생 5,848명 연행


2004 아내강제추행죄 첫 인정 판결


2015 대법원 불법정치자금 받은 혐의 한명숙 전 총리 징역 2년 추징금 8억8천만 원 선고한 원심 확정, 전직 총리로는 처음 옥에 갇힘

2015 이주노동자노조 설립신고필증 첫 발급


2020 가수 나훈아, 1980년 5월 광주의 비극 노래한 ‘엄니’ 발표

- 1987년 작곡해 카세트 테이프 2천 개에 담아 광주MBC에 전달했지만 "정보기관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33년 만에 ‘아홉 이야기’라는 앨범에 수록

- “엄니 엄니 워째서 울어쌌소/나 여그 있는디 왜 운당가/엄니 엄니 뭐 땀시 날 낳았소/한 많은 이 세상 어째 낳았소/들리지라우 엄니 들리지라우 엄니/인자 그만 울지 마시오/엄니 엄니 워째서 불러쌌소/눈앞에 나 있는디 어째 날 찾소/엄니 엄니 무등산 꽃 피거든/한 아름 망월동에 심어주소/들리지라우 엄니 들리지라우 엄니/인자 그만 울지 마시오/엄니 엄니 워째서 잠 못 자요/잠자야 꿈속에서 날 만나제/엄니 엄니 나 잠들고 싶은디/잠들게 자장가나 불러주소/들리지라우 엄니 들리지라우 엄니/인자 그만 울지 마시오/인자 그만 울지 마시오/인자 그만 울지 말랑께”

2022 마라도너 강명구 제주-바티칸 400일 1만1천km 평화달리기 출정식




1915 살바르산 606호 발견한 독일 미생물학자 파울 에를리히 세상 떠남(61세), 여러 화학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매독 스피로헤타의 병원체 죽이는 화학요법제 ‘살바르산 606호’ 개발 공로로 1908년 메치니코프와 함께 노벨생리의학상 받음, 살바르산=매독병원체 죽이는 특효약, 606회나 실험한 끝에 약을 개발했기에 606이란 숫자를 붙임


1948 국제난민기구(IRO) 발족


1953 소련 수폭 실험 성공 발표


1960 세네갈 독립

1968 동유럽 5개국 군대 자유화운동 일어난 체코슬로바키아 침입


1975 미국 무인 화성탐사우주선 바이킹1호 발사

1977 미국 목성-토성 탐사기 보이저 2호 발사


1988 이란-이라크 유엔 중재로 전쟁 발발 8년 만에 휴전, 2차 대전 이후 가장 긴 국가간 재래식 전쟁 사망 125만명


1990 프랑스 첼리스트 모리스 장 드롱 세상 떠남

1998 미국, 케냐와 탄자니아 미국대사관 연쇄 폭탄트럭테러(8월 7일, 사망 224명 부상 5천여 명)에 대한 보복으로 아프가니스탄과 수단 미사일 공격


2008 파키스탄 북서부의 소도시 데라 이스마일칸의 병원에서 자살폭탄테러 사망 23명

2008 스페인 마드리드공항 비행기 충돌 사망 154명


2015 독일 통일의 초석 놓은 ‘동방정책의 설계자’ 에곤 바르 전 서독 경제협력부 장관 세상 떠남

2018 베네수엘라 7월 중 물가상승률이 8만%가 되자 기존통화가치를 95~96% 평가절하한 화폐개혁, 기존의 볼리바르를 10만대 1로 리디노미네이션(화폐단위 변경)한 새 통화 볼리바르소베라노 발행, 월 최저임금60배(300만볼리바르에서 1800볼리바르소베라노로) 인상



[출처] 2023년 8월 20일 일요일|작성자 주책다방 지키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936 [역사 속 오늘] 10/19(1894)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태어남. moneybook 2010-10-19 3287
4935 [역사 속 오늘] 10/20(1107) 윤관장군, 여진족정벌 개시. moneybook 2010-10-20 3519
4934 [역사 속 오늘] 10/21(1994) 성수대교 붕괴, 32명 사망 17명 부상 moneybook 2010-10-21 3271
4933 [역사 속 오늘] 10/22(1991) 유럽공동체(EC)와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유럽경제지역(EEA) 창설. moneybook 2010-10-22 3552
4932 [역사 속 오늘] 10/23(1996) 백범 김구 암살범 안두희 피살 moneybook 2010-10-23 3437
4931 [역사 속 오늘] 10/25(1971) 대만 쫓아내고 중국 유엔가입. moneybook 2010-10-25 3464
4930 [역사 속 오늘] 10/26(1909) 안중근 의사, 하얼빈역서 이또 히로부미 사살 moneybook 2010-10-26 3496
4929 [역사 소 오늘] 10/27(1972) 비상국무회의, 유신헌법안 공고. moneybook 2010-10-27 3474
4928 [역사 속 오늘] 10/28(1992) 종말론 파동. moneybook 2010-10-28 3810
4927 [역사 속 오늘] 10/29(2007) 김용철 변호사, 삼성 비자금조성 의혹 등 폭로 moneybook 2010-10-29 3637
4926 [역사 속 오늘] 10/30(1910) 적십자의 아버지 앙리 뒤낭 세상 떠남. moneybook 2010-10-30 3313
4925 [역사 속 오늘] 10/31(1517) 마르틴 루터 95개조항의문 내걸고 종교개혁 일으킴. moneybook 2010-11-01 3531
4924 [역사 속 오늘] 11/01(1908) 최남선,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 창간. moneybook 2010-11-01 3422
4923 [역사 속 오늘] 11/02(1874) 만국우편조약조인. 한국 1954년 가입. moneybook 2010-11-02 3522
4922 [역사 속 오늘] 11/03(1929) 광주학생독립운동 일어남. moneybook 2010-11-03 4101
4921 [역사 속 오늘] 11/04(1933)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moneybook 2010-11-04 3403
4920 [역사 속 오늘] 11/05(1688) 영국, 명예혁명 일어남. moneybook 2010-11-05 3287
4919 [역사 속 오늘] 11/06(1860) 링컨, 미국 제16대대통령 당선. moneybook 2010-11-06 3785
4918 [역사 속 오늘] 11/07(1950) 이발료 300원, 목욕료 100원. moneybook 2010-11-08 4396
4917 [역사 속 오늘] 11/08(2000) 대우자동차, 최종 부도처리, 공장가동 멈춤. moneybook 2010-11-08 3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