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풀잎에 맺힌/이슬처럼 살고 싶다/수없이 밟히우는 자의/멍든 아픔 때문에/밤을 지새우고도,/아침 햇살에/천진스레 반짝거리는/이슬처럼 살고 싶다./한숨과/노여움은/스치는 바람으로/다독거리고,/용서하며/사랑하며/감사하며,/욕심 없이/한 세상 살다가/죽음도/크나큰 은혜로 받아들여,/흔적 없이/증발하는/이슬처럼 가고 싶다.” -황선하 ‘이슬처럼’


9월 21일 오늘은 세계 평화의 날 1999년 영국 평화활동가·다큐멘터리 감독 제레미 길리의 영화 ‘평화의 하루(Peace One Day)’를 시발로 전쟁과 폭력이 없는 하루 만이라도 만들어보자는 운동 시작됨, 이를 지지한 UN이 오늘을 국제적 휴전과 비폭력의 날로 지정, 모든 UN회원국 정부는 오늘 하루를 폭력과 전쟁이 없는 평화의 날로 기념하고 세계 각국 정부와 시민사회 학교 등에서 오늘 하루만이라도 폭력과 전쟁 멈추는 날 만들려 다양한 행사와 활동

9월 21일 오늘은 세계 치매극복의 날, 가족과 사회의 치매환자 돌봄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 마련하고자 1995년 WHO가 지정


  668(고구려 보장왕 27) 고구려 멸망


1374(고려 공민왕 23) 공민왕 피살


1894(조선 고종 31) 죄인 연좌제도 폐지


1928 함경도에 홍수 인명피해 1400명 가옥손실 37,323호

1935 부산방송국(JBAK) 개국


1945 김일성 소련군과 함께 입북, 북한 점령한 소련군정 소작료 3-7제 실시


1953 노금석 북한 공군대위 MIG15기 몰고 귀순, 미국 CIA 권유로 미국으로 건너갔고, 2022.12.26 미국에서 세상 떠남(90세), 2008년 오늘 그의 아들이 아내를 권총으로 죽이고 스스로 목숨 끊음

1959 북한 남한의 전쟁복구 위한 물자제공 제의

1959 ‘부녀자의 정치적 권리에 관한 협약’ 가입


1976 서울 풍납동 백제토성 복원공사 준공


1987 동아일보 기자들 안기부의 「신동아」 인쇄중지에 항의농성

1987 북한올림픽위원회 88서울올림픽 불참 밝힘

1988 사할린 교포 3명 소련 허가로 첫 한국입국


1990 녹십자사 세계최초로 유행성출혈열 예방백신 개발

1992 충남 천안 경부고속도로서 고속버스와 승용차 연쇄 7중 충돌 사망 6명 부상 20명

1992 이란 반다르 아바스시서 대우 노동자 4명 무장괴한에 납치됨

1994 지존파 납치살인사건 일어남


2009 한국증시 FTSE 선진지수 편입, FTSE 선진지수 편입은 국내증시가 규모뿐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적 안정성, 금융시장의 질적 수준 등에서 선진국 수준을 인정받은 것


2010 수도권 큰 비 서울 259.5mm

2011 검찰 공직선거법상 후보매수죄로 곽노현 서울시교육감 구속기소, 2012.9.27 대법원 선거법 위반혐의 유죄 확정


2021 문재인 대통령 유엔총회 연설, 4년 연속 종전선언 발언

2022 윤석열 대통령 미국 뉴욕에서 비속어 발언 파문, ‘글로벌 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에서 조 바이든 미대통령과 48초 동안 만나고 나오면서 박진 외교부장관을 향해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떻게 하나”라고 발언




1832 영국 계관시인 월터 스코트 세상 떠남 ‘아이반호’

1860 독일 관념론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세상 떠남(72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윤리학』 “밑에 짐이 없는 배는 불안정하고 똑바로 나아갈 수 없는 법이다.” 실제 존재하는 건 의지뿐이며 의지가 모든 괴로움의 원천이라 주장, 이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은 오직 금욕적 생활을 통하여 불교의 열반과 같은 경지에서만 얻을 수 있다고 주장


1934 일본 혼슈지방 태풍 사망 4,000여명


1993 보리스 옐친 러시아대통령 의회 해산


2003 미국 목성탐사선 갈릴레오호(1989.10.18 발사 1995.12.7. 목성 도착) 14년 만에 임무 마침


2011 중국 광둥성 우칸촌 농민들, 부정부패와 빈부격차 항의 연좌시위, 12.21 광둥성 정부는 주민들이 민주선거로 뽑은 대표와 만나 농민들의 요구 받아들임

2013 케냐 나이로비 쇼핑몰서 이슬람무장세력 테러 사망 72명

2016 페이스북 설립자 마크 저커버그와 아내 프리실라 챈 30억$(약 3조3150억원, 10년간) 기부의사 밝힘

2017 허리케인 마리아(4등급 시속175km) 카리브해 강타 푸에르토리코 전국토 정전 350만 전국민대피령 사망 975명


2020 에베레스트 10차례 무산소로 올라 기네스북에 등재된 네팔 셰르파 앙 리타(72세) 세상 떠남, 1987년 12월 허영호와 함께 무산소로 에베레스트 오름



[출처] 2023년 9월 21일 목요일|작성자 주책다방 지키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816 [역사 속 오늘] 02/23(1399) 금속활자 만든 독일 발명가 구텐베르크 태어남. 1468년 같은 날 세상 떠남. moneybook 2011-02-23 2855
4815 [역사 속 오늘] 02/24(1909) 세계 최초의 천연색영화, 영국에서 개봉. moneybook 2011-02-24 2827
4814 [역사 속 오늘] 02/25(1971) 닉슨 대통령, 닉슨 독트린 발표. moneybook 2011-02-25 2963
4813 [역사 속 오늘] 02/26(1949) 유엔안보리, 한국 유엔가입자격 가결 moneybook 2011-02-28 2851
4812 [역사 속 오늘] 02/27(289) 로마제국 콘스탄티누스 황제, 기독교 공인. moneybook 2011-02-28 2972
4811 [역사 속 오늘] 02/28(1987) 강원도 화천댐 상류에 <평화의 댐> 공사 착공. moneybook 2011-02-28 2866
4810 [역사 속 오늘] 03/01(1919) 기미 독립선언 moneybook 2011-03-01 2993
4809 [역사 속 오늘] 03/02(1909) 안중근 의사, 단지동맹 결성. moneybook 2011-03-02 3752
4808 [역사 속 오늘] 03/03(1973) 한국방송공사 창립 moneybook 2011-03-03 2932
4807 [역사 속 오늘] 03/04(1933)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 뉴딜정책 선언. moneybook 2011-03-04 2936
4806 [역사 속 오늘] 03/05(1898) 중국 수상 지낸 주은래 태어남. moneybook 2011-03-07 3056
4805 [역사 속 오늘] 03/06(1973) 노벨문학상 받은 미국 작가 펄 벅 세상 떠남 moneybook 2011-03-07 2983
4804 [역사 속 오늘] 03/07(1951) 6-3-3-4년제를 중심으로 한 교육법개정안 국회통과. moneybook 2011-03-07 3065
4803 [역사 속 오늘] 03/08(1445)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 용비어천가 완성. moneybook 2011-03-08 3912
4802 [역사 속 오늘] 03/09(1959) 마텔사, 바비인형 처음 판매. moneybook 2011-03-09 3205
4801 [역사 속 오늘] 03/10(1938) 도산 안창호 옥중 세상 떠남. moneybook 2011-03-10 2994
4800 [역사 속 오늘] 03/11(528) 이차돈순교로 불교공인 moneybook 2011-03-11 2673
4799 [역사 속 오늘] 03/12(2004) 국회, 헌정사상 처음 대통령탄핵소추. moneybook 2011-03-13 2706
4798 [역사 속 오늘] 03/13(1940) 임시정부 국무총리 지낸 독립운동가 이동녕 세상떠남. moneybook 2011-03-13 2927
4797 [역사 속 오늘] 03/14(1879) 독일 물리학자 앨버트 아인슈타인 태어남. moneybook 2011-03-14 2768